1월 말 인력 복귀...생산·바잉 원활
원부자재 비용과 공임은 지속 상승
[어패럴뉴스 조은혜 기자] 중국 내 생산 및 바잉 활동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 1월 말을 기점으로 공장인력들의 복귀와 광저우 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해, 이달 현재는 인력 복귀 문제만 제외하고 코로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생산은 지역별, 공장별 컨디션이 다르긴 하나 대련, 항저우 등 공장가동이 완전히 멈추지 않았던 지역들은 90% 이상 인력이 복귀했고, 아직 미흡한 곳은 50% 선이다.
비상기간 생산 차질을 빚었던 국내 브랜드들의 상품 납기도 이달 초 중순 거의 정리됐고, 진행 중인 물량들도 대부분 제때 움직인다. 80~90%가 납기시점이 틀어지지 않고 일부 늦어지는 것도 체감이 크지 않은 선이다.
수량이 많지 않은 국내 오더 투입은 이전보다 수월한 분위기다. 미국의 보복관세 영향으로 미주 오더가 크게 줄었고, 중국 원부자재를 쓰는 베트남까지 미주 오더가 감소하며 대 물량 수요가 축소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국내 브랜드들을 상대로 영업하기 위한 중국 업체들의 한국행도 늘고 있다.
생산 프로모션 S사 대표는 “중국 생산, 바잉 활동이 원활하지만 원부자재와 공임 비용은 계속 상승 중이라, 중국만 보지 않고 베트남으로 조금씩 생산을 옮겨가려는 브랜드사 요청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어패럴뉴스]
(더 많은 정보를 읽으시려면 바로가기를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