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캐릭터캐주얼 시장 팽창 올 한해 영캐릭터 시장의 팽창이 예상되고 있다.
업계에 의하면 최근 2~3년 간 ‘보브’, ‘질바이질스튜어트’ 등 영캐릭터 브랜드들의 선전에 따라 여성복 시장 전반의 신규 브랜드 기근 속에서도 주요 백화점을 중심으로 PC 확장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 영캐주얼 군에 속해있던 영캐릭터 군은 현재 빅3 백화점에서 독립 PC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내셔널 브랜드 뿐만 아니라 수입, 라이선스를 포함해 영 컨템포러리, 영트렌디 등으로 세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샤와 바바패션 등 여성복 중견사들의 신규 브랜드 사업도 영캐릭터로 집중됐다.
미샤는 올 추동 시즌 런칭하는 영캐릭터 브랜드의 사업부 세팅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브랜딩 작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디자인실에 수입브릿지 시장 형성의 중심축이 됐던 인터웨이브 출신의 서희정 실장을, 최근에는 아이디룩 등을 거친 유승주 이사를 영업총괄로 영입하면서 수입브릿지와 영캐릭터 수요의 포괄 흡수를 예고하고 있다.
바바패션 역시 올 추동 시즌 런칭하는 ‘제이제이지고트’를 모 브랜드인 캐릭터 ‘지고트’의 강점인 엣지있는 수트 테일러링에 바탕을 둔 고감도 영캐릭터로 기획 중이다.
기존 영캐주얼 브랜드에서도 영캐릭터 시장 흡수를 염두에 둔 상품기획이 눈에 띈다.
캠브릿지코오롱의 ‘쿠아’는 스타일리스트 정윤기씨와 협업한 세미포멀 라인의 높은 인기로 이를 확대하고, 동광인터내셔날은 ‘스위트숲’을 통해 이번 춘하 시즌부터 정장 라인을 선보인다.
마무리 단계에 있는 주요 백화점의 봄 시즌 MD 개편에서도 영캐릭터 브랜드들이 입지를 넓히고 있는 추세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춘하 시즌 리런칭하는 ‘미스식스티’가 목동, 신촌, 미아점 등 3개점 입점을 확정했고, 지난해 높은 신장률을 기록한 ‘마쥬’, ‘지컷’ 등이 가세했다.
‘스위트숲’ 기획팀 양재진 팀장은 “소비자들이 수년간 지속되어 온 캐주얼 일색 트렌드에 식상함을 나타내고 있다”며 “이에 따라 영캐주얼의 스포티한 감각과 캐릭터캐주얼의 정제된 핏감이 조화를 이룬 영캐릭터에 대한 업계 안팎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어패럴뉴스 2010.1.13(수)http://www.ap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