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황 - 폭설과 한파로 가두점 개점 휴업
<여성복>
유통 간 희비 엇갈려
한파가 지속되면서 유통 간 희비가 엇갈린 한주였다.
백화점과 아울렛은 아우터가 때늦은 호황을 맞으면서 매출이 상승했고, 가두점은 유동 고객의 감소로 전주에 비해 매출이 줄었다.
롯데와 현대 등 주요 백화점 영캐주얼 PC는 시즌 오프와 세일, 아우터 행사전 등이 계속 이어진데다 한파의 영향으로 전주 대비 5% 내외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패딩 아우터의 판매가 가장 활발했고, 일부 브랜드는 물량 부족 사태를 겪기도 했다.
퍼 아이템은 상대적으로 주춤했지만 예년 1월에 비해서는 판매세를 이어갔다.
커리어와 캐릭터도 상황은 비슷하다.
보온성이 강한 아우터의 판매가 매출을 견인하면서 소폭이나마 매출이 반등했다.
가두점은 유동 고객 감소로 겨울 시즌 오픈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줄었다.
가두점을 주력으로 하는 대부분의 브랜드들은 전주 대비 10% 내외의 역신장을 나타냈다.
패딩 점퍼와 모피가 꾸준히 판매되고는 있지만 내방 객 수 자체가 줄어들면서 주춤하는 분위기를 반전시키지는 못했다.
본딩 팬츠와 프라다 패딩 점퍼 등 보온성 있는 아이템의 판매가 절대 비중을 차지했다.
<남성복> 시즌오프 막바지 단계
시즌오프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이렇다할 주 단위 매출 변화가 없는 가운데 전주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백화점별로 롯데가 1.3%, 현대가 0.4%, 신세계가 3.5% 각각 신장했다.
TD캐주얼은 겨울 상품 판매가 마무리 단계지만 추운 날씨 덕분에 패딩 등 외의류를 계속 팔아 좋은 실적을 올렸다.
가두 캐릭터캐주얼 업체들도 전주 대비 비슷한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막바지 추가 세일과 기획 상품 출시로 고객몰이에 나섰으나 매출 신장을 이끌지는 못했다.
이달 중순 본격적인 신상품 출고를 앞두고 영업력이 분산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신원의 ‘지이크파렌하이트’는 겨울 상품의 후속 물량 운용을 마치고, 봄 상품 출고 준비에 들어갔다.
겨울 상품은 코트류가 시즌 막바지임에도 꾸준히 판매됐다.
제스인터내셔널의 ‘제스’는 슬림한 수트와 캐시미어 혼방 코트가 인기를 끌었다.
신성통상의 ‘지오지아는 체크 패턴의 방모코트가 팔림새가 좋았다.
<골프웨어> 가두상권 타격 심해
주요 골프웨어 브랜드들이 전주에 못 미치는 판매율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3주 동안의 매서운 추위가 시들지 않더니 폭설이 덮치면서 차를 끌고 나올 수 없고 대중교통마저도 마비되면서 주 중반까지 쇼핑객을 기대하기 어려웠고, 이후에도 기습한파로 눈이 녹지 않을 정도로 추위에 떨면서 가두상권에 특히 타격이 컸다.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 약간 날이 풀리면서 다시 고객들이 움직여 평일보단 나았지만 전주 보다 큰 성과를 내기 어려웠다.
전주와 마찬가지로 다운점퍼와 패딩, 목도리, 장갑 등 보온 제품의 행사판매가 활발했고, 정상매출은 떨어졌다.
동일레나운의 ‘아놀드파마’는 백화점은 보합, 대리점은 5% 가량 매출이 빠졌으며 슈페리어의 ‘슈페리어’, ‘임페리얼’도 3~5% 가량 줄었다.
한국데상트의 ‘먼싱웨어’와 ‘르꼬끄골프’, 피오엠디자인의 ‘엘레강스스포츠’도 전주와 비슷한 판매율을 거뒀다.
<아웃도어> 백화점 매장 큰 폭 신장
백화점은 매출이 신장한 반면 가두점은 하락세를 보였다.
백화점은 영업일 수 증가와 함께 세일이 시작되면서 상승세를 보였으며, 가두점은 폭설로 내방객이 줄면서 감소세를 이어갔다.
일부 가두점의 경우 폭설로 인해 아예 매장 문을 열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백화점은 행사는 물론 정상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여 25%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롯데백화점은 한 주간 전주 대비 29.1% 신장한 59억6천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본점은 정상 판매로만 31.5% 신장한 6억3천6백만원을 판매했다.
잠실점은 17.4% 신장한 4억7백만원, 영등포점도 50.1% 신장한 2억5천6백만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점포가 선전했다.
어패럴뉴스 2010.1.14(목)http://www.appnews.co.kr